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도커
- worker
- 개념
- gns3
- 실습
- mysql
- RAID
- dockerfile
- RAPA
- network
- 용어정리
- nodejs
- 클라우드
- MongoDB
- 쿠버네티스
- Docker Swarm
- kubernetes
- git
- Docker-compose
- node.js
- 네트워크
- 이론
- PAT
- Javascript
- express
- PaaS
- OpenStack
- IaaS
- 명령어
- docker
- Today
- Total
목록2020/06/03 (2)
융융이'Blog
스위치는 **learning, flooding, forwarding, filtering, aging** 5가지 기능으로 동작한다. Learning 최초 스위치의 MAC address table 은 비어 있는 상태 스위치는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A와의 통신을 위해 패킷을 내보내면 그때 A의 MAC address를 읽어서 자신의 MAC address table에 저장. 나중에 어떤 pc 가 A에게 통신할 경우 자신의 MAC address table 을 참고해서 패킷을 전달. Flooding A로부터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MAC address 에 없음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림 Broadcast를 메시지를 보낸 것과 동일함. Forwarding A로부터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6wt3P/btqEzApjFZf/9CpNxhaebnazQcaJyYGpp0/img.png)
계층적 디자인 전통적인 네트워크 디자인인 캠퍼스 네트워크와 같이 단말의 트래픽이 외부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코어 영역으로 집중(North-South 트래픽)되는 환경에서 효율적 각 지역간 링크를 최소화하고 두대의 장비가 각 Layer에 이중화로 구성되어 Fail-Over 수행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트래픽이 집중되는 코어와 분산 스위치의 업그레이드 필요(Scale-Up) SPINE/LEAF 디자인 Spine-Leaf 구조는 데이터센터의 트래픽이 수직적(North-South)에서 수평적(East-West)으로 변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적용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트래픽 분산을 위해 SPINE 스위치를 추가연결하는 구조(Scale-Out) SPINE-LEAF 구조는 CLos네트워크와 동일한 구조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