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도커
- 쿠버네티스
- kubernetes
- 명령어
- IaaS
- 네트워크
- 클라우드
- gns3
- 이론
- 실습
- PaaS
- git
- MongoDB
- worker
- mysql
- docker
- nodejs
- RAID
- 용어정리
- RAPA
- Javascript
- OpenStack
- dockerfile
- Docker-compose
- 개념
- network
- Docker Swarm
- express
- PAT
- node.j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2020/05/29 (1)
융융이'Blog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7gBhF/btqEt6oF6bv/oS94qHMMwVtYKg1FhblAFK/img.png)
최종 실습 실습내용 ISP : 211.183.3.0/24 VMnet1 : 192.168.1.0/24 VMnet2: 192.168.2.0/24 VMnet2: 192.168.3.0/24 HQ인더넷 : 192.168.0.8 (DHCP) BR이너뎃 : 192.168.0.28(DHCP) 그림 위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한다. VLAN설정 HQ 과 BR에서 vlan10, 20을 만들어 준다. HQ# vlan dat vlan 10 name A //vlan 10을 만들어준다. do show vlan-sw br // BR에서 vlan10 과 20을 만든다. Switch에서 trunk 모드와 access모드 변경 해준다. 본사 SW# int fa1/10 sw mode trunk do show trunk int fa1/..
2022이전/네트워크
2020. 5. 29. 16: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