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Tags
- git
- PAT
- gns3
- RAID
- network
- OpenStack
- 개념
- dockerfile
- Docker Swarm
- 명령어
- express
- nodejs
- RAPA
- mysql
- node.js
- MongoDB
- 네트워크
- 실습
- PaaS
- 도커
- 이론
- Javascript
- docker
- worker
- 용어정리
- kubernetes
- 쿠버네티스
- 클라우드
- IaaS
- Docker-compose
Archives
- Today
- Total
융융이'Blog
[개념] Docker 기본 구조 본문
도커는 운영체제 수준의 가상화 기법을 사용한다. 운영체재 내에서 응용 프로그램 대상으로 폐쇄되고 제한되어 분리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.
컨테이너 화(Containerization)
-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를 가상 머신 기반 가상화와 구별하기 위해 때로는 가상화 대신
컨테이너화라는 용어를 사용한다.
컨테이너의 이해
컨테이너는 운영체제의 가상화 기법을 이용해 경량의 가상화를 제공한다. 다양한 기능 중에서 네임스페이스(Namespace)와 Cgroup(Control-group)이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.
네임스페이스 격리(Namespace Isolation)
네임스페이스 격리 또는 네임스페이스는 프로세스 상에서 사용하는 특정 자원에 대한 가시성을 제한하기 위해 리눅스 커널에 구현된 기능이다. 별도의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간에는 서로의 자원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.

컨트롤 그룹(Control-group, Cgroup)
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는 시스템 자원에 대해 프로세스마다 다른 가시성을 제공하는 것이다. 이를 통해 어느 정도 의 격리는 제공하지만 그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.
예, 마운트 네임스페이스에서는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공간의 최대 용량을 제한 할 수 없다.
Cgroup은 CPU, 메모리, 디스크I/O 등과 같은 자원을 제어하며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고 자원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.

'2022이전 > Docker&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실습]사설 도커 허브 만들기 (0) | 2020.06.15 |
|---|---|
| [명령어] Dockerfile 작성 (0) | 2020.06.12 |
| [명령어] 도커 컨테이너 접속하기 (0) | 2020.06.12 |
| [명령어]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관리 (0) | 2020.06.11 |
| [명령어] 도커 이미지 관리 (0) | 2020.06.11 |